00억 원에서 600~800억
페이지 정보
본문
[환경부] 앞으로기후대응댐건설 시 지원하는 지역 지원금이 300~400억 원에서 600~800억 원으로 2배 확대될 예정이다.
또한댐주변지역 정비사업의 추가금액도 상향하는 바, 기존에는 저수면적, 총저수용량, 수몰 세대, 개발수요 등을 고려해 최대 200억 원.
이에 대해 환경단체는댐건설을 위한 회유책이라며댐건설 반대 입장을 재확인했다.
환경부는댐주변지역 정비사업 확대를 위한 ‘댐건설·관리.
김완섭 환경부 장관이 지난해 7월 30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에서 '기후대응댐' 후보지를 발표하고 있다.
지난해 발표된 '기후대응댐' 후보지 14곳 중 일정 규모.
환경부는댐주변지역 정비사업 확대를 위한 ‘댐건설·관리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대비한 대피시설 등 일상 공간에서의기후적응 기반시설도 확대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를 위해 올해 안에 전국의 ‘기후대응댐’ 후보지를 확정하고 타당성 조사 등 제반 절차를 추진하는 한편, 서울 도심의 침수 방지를 위한 ‘대심도 빗물 터널(광화문, 강남.
지난해 8월4일 발족한 대책위는 이 천막에서 9월10일부터 야간 농성과 출퇴근 시간대 피켓 시위를 이어오고 있다.
지천댐은 전국 14개기후대응댐가운데 하나로, 청양군 장평면과 부여군 은산면 일원에 저수 용량 5900만㎥ 규모로 설치가 계획돼 있다.
강원 강릉 성덕초 1학년 4반 학생들이 멸종위기 산양 보호를 위해 작성한 엽서.
최규서 성덕초 교사 제공 환경부가기후대응정책에 역행하는댐건설 계획을 강행할 것이라는 계획을 밝혔다.
지난해 산양 떼죽음을 방기했던 환경부가 올해 주요계획에서도 아예 생물.
400억→600억~800억원'장관이 인정한' 기준 미달댐에도 지원 춘천댐 방류 사진.
한국수력원자력 제공 정부가 전국 14곳에 '기후대응댐' 건설지를 겨냥해, 기존보다 2배 많은 정비사업 지원금을 제공하는 내용으로 관련 법규를 개정한다.
경남지역 시민단체가 ‘가례천기후대응댐건설 백지화’를 의령군에 촉구하고 나섰다.
-
- 이전글
- 가운데 박주민 국회 보건복지
- 25.01.23
-
- 다음글
- 애플의 XR 헤드셋비전프로와 같이
- 25.01.2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